[한달특집] 한주간의 인방을 분석합니다!
10.14
부터 10.20
까지 데이터를 통해 이번주 인방이 어땠는지 확인해보죠!
아프리카, 트위치 통합 뷰어쉽 그래프
아프리카, 트위치 요약 정보
아프리카, 트위치 통합 소프트콘 랭킹
이번주부터 통합 소프트콘 랭킹을 시작합니다!
이 랭킹은 최고 시청자
, 평균 시청자
, 뷰어쉽(평청자 X 방송시간)
를 점수로 치환하여 순위를 매기는 새로운 타입의 랭킹입니다!
기존 랭킹 시스템은 각각 고유한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 최고 시청자 : 즉흥적인 이벤트와 외부 영향을 강하게 받음, 크리에이터의 최대 유입력을 볼수 있는 지표
- 평균 시청자 : 가장 효과적인 지표로 크리에이터의 척도를 가장 잘 보여줌, 하지만 짧게 방송하고 끝내면 더 높은 순위를 기록할 수 있음
- 뷰어쉽 : 뷰여쉽은 평청자 X 방송시간으로 크리에이터의 인기와 노력을 가장 잘 보여줌, 하지만 길게 방송하면 더 높은 순위를 기록할 수 있음
이 모든 지표는 하나하나 다 의미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평균 시청자에 어느정도 가중치를 두고 크리에이터의 영향력을 확인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면에서 저 3가지 지표를 한번에 사용하면서 객관적인 크리에이터 랭킹을 만들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뷰어쉽에는 평청자 지수가 들어가 실질적으로는 최고 시청자
+ 평균 시청자
+ 평균 시청자 X 방송시간
의 데이터입니다. )
꽤나 객관적이라고 판단되는 데이터이지만, 아직은 문제점이 있을수 있습니다.
조금씩 수정하고 발전해나가면서 더욱 객관적인 랭킹을 만들어 나가겠습니다!
아프리카, 트위치 카테고리 랭킹
연재한달특집, 아프리카 vs 트위치!
이번주는 특집으로 아프리카와 트위치를 비교하는 데이터 분석 시간을 마련해봤습니다. 이름하야 아프리카 vs 트위치!
이번시간에 다룰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랭킹 상위권은 아프리카지만 전체 시청자 그래프는 왜 트위치가 더 높을까?
기존 자료 비교
기존 뷰어쉽 그래프입니다.
보시다시피 트위치의 보라색 선이 대체적으로 아프리카의 파란색 선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랭킹을 확인해보면 분명 상위권 크리에이터에는 아프리카 BJ들이 포진해 있는것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분명 절대적인 시청자수에서는 트위치가 더 높지만, 상위권 크리에이터들은 아프리카 BJ들이 더 많은 신기한 현상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왜일까요?
새로운 자료
몇주간의 뷰어쉽 그래프를 확인해보면 시청자수가 가장 많은 시간대는 밤 11시 ~ 새벽 0시 까지의 시간대입니다.
이 시간대를 기준으로 특정 이슈 ( 아시안게임, 롤드컵 등 독점 컨텐츠 ) 가 없는 날짜의 데이터를 가져와봤습니다!
이 자료는 10월 14일 오후 11시 30분 100위까지의 시청자수 데이터입니다.
최상위의 데이터는 분명 비슷하지만 5위부터 40위권까지의 순위 자체는 2배 정도의 차이로 트위치가 더 앞서 있습니다.
이 수치로 확인해보면 아프리카의 최상위권 BJ 쏠림 현상이 어느정도 보여지고 있는것 같습니다.
20위까지 줄여서 본 시청자수 데이터입니다.
조금더 그 사이가 보이는데요, 최상위권 2~3명의 시청자는 아프리카와 트위치가 비슷하지만 4위부터 20위까지의 시청자수는 트위치가 더 높은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0월 18일 오후 11시 30분 전체 100위까지의 시청자수 데이터입니다. ( 유튜브 수집 이후 데이터 )
최상위권에서는 트위치와 아프리카의 시청자수가 비등비등한것으로 보이지만, 10위권 이후부터는 트위치 스트리머들이 더 많이 포진해 있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유추한 정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합동방송등의 컨텐츠가 있었던 크리에이터들은 평균 시청자와 최고 시청자의 차이가 2~3배까지 발생합니다.
- 아프리카 BJ들의 강하게 연결된 BJ들의 합동방송이 많아 최상위권 BJ들의 최고 시청자수가 높습니다.
- 트위치 스트리머들은 느슨하게 연결된 스트리머들의 개인방송이 많아 중위권 이후의 시청자수가 높습니다.
마치면서
한달간 지켜본 데이터로 아프리카와 트위치의 크리에이터들의 특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주에도 더 재밌고 알찬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